새 차 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톨루엔'의 독성 및 부작용
- 자유로운 정보/건강 정보
- 2022. 4. 17.
새 차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는 독성을 지닌 성분 ‘톨루엔(Toluene)’을 아시나요?
톨루엔은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인체에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오랜 기간 노출되게되면 피부와 눈에 자극이 될 수 있으며 두통 및 어지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신체가 미숙한 어린이들의 경우 인체에 장기적인 후유증을 남길 수도 있으며 심하면 무의식, 사망에 이를 수 있는 부작용 및 독성을 가진 성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톨루엔(Toluene)’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톨루엔이란?
톨루엔은 다른 이름으로는 톨루올, 메틸벤젠, 페닐메탄으로 불리는 방향족 탄화수소 성분으로 톨루발삼 나무 또는 석유 원유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며 스타이렌 제조의 부산물, 산업 활동의 결과 등으로 생산되는 성분입니다.
기본적으로는 상온에서는 물처럼 색깔이 없는 투명한 액체의 형태를 이루고있으며, 휘발유와 비슷한 특이한 자극적인 냄새를 지니고 있습니다.
물에 잘 녹지않지만 에탄올, 에테르 등과 같은 기름으로 된 액체, 즉 유기용매에는 잘 녹는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또한 공기 중으로 쉽게 날아가는 대표적인 휘발성유기화합물 성분으로 불에도 쉽게 붙는 특성이 있습니다.
● 톨루엔의 특성
톨루엔은 ‘새 집 증후군’과 비슷한 ‘새 차 증후군’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성분으로 새차의 내장재에 사용되는 페인트나 접착제 등을 통해 인체에 쉽게 노출될 수 있습니다.
특히 여름철 차량 내 온도가 올라가면 유해물질 방출량이 평상시보다 최고 8배 이상 증가하기때문 새 차를 구입한 운전자는 자주 환기를 하는 등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로 하며 새 차 구입 후 3~4개월 간 환기를 잘 시켜주게되면 초기 유해물질 농도의 75~95%까지 줄어듭니다.
주로 산업 공급 원료 및 용매로 사용되는 톨루엔은 물리 화학적 특성이 비슷한 벤젠에 비해서 독성이 낮고 가격이 저렴하기때문에 유성페인트나 인쇄용 잉크, 접착제 등을 만들 때 용매로도 광범위하게 쓰이며 매니큐어, 래커, 얼룩 제거제, 특히 도료의 용제로 많이 사용되는 시너의 주성분으로서 쓰이고 있습니다.
또한 톨루엔은 합성 고무, 기타 유기화합물(페놀, 아세톤 등), 약품, 사카린 등의 제조 및 세정, 세척을 위해 사용되기도하며 가짜 휘발유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성분입니다.
톨루엔은 실내 공간에서도 내장재, 가구 등에서 배출 될 수 있는데 공기보다 무거운 특성을 지니고 있어 실내에서 배출될 경우 바닥에 가라앉게되므로 페인트나 접착제를 사용할 때에는 적절한 환기가 필요합니다.
● 톨루엔의 부작용
일반적인 환경에서 발생되는 톨루엔의 농도로는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나타내지는 않지만
고농도의 액체나 기체가 직접 몸에 닿게되면 피부와 눈에 자극을 줄 수 있으며 휘발되는 톨루엔에는 중독성을 가지고 있어 톨루엔이 방출되는 공간에서 오래 머무르게되면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우며 구토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장기간 톨루엔에 노출될 경우 눈이 떨리거나 운동 능력에 장애가 생길 수 있으며 신경계통을 손상시켜 정상적인 활동을 방해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어린이 용품에는 톨루엔이 들어있는 경우가 적으나 접착제가 있는 스티커제품 등에 휘발유 비슷한 냄새가 나는 제품은 위험할 수 있으며 어린이들은 간접흡연으로부터도 소량의 톨루엔을 흡입할 수도 있습니다.

태아 또는 어린이가 흡입하게 될 경우 중추신경계통 약화, 어지럼증 유발, 두통, 도취감, 혼란, 현기증, 졸음, 기억 상실 등을 유발하며 고농도에서는 무의식 또는 사망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
톨루엔에 노출되었을 때 응급치료 방법으로는 깨끗한 물이나 우유를 마셔 체내에서 희석시키는 방법이 유효합니다.
- 건강 정보에 대해서 더 알아보기
▶ 플라스틱과 스티로폼을 이루고있는 환경호르몬 성분 '스타이렌'
▶ 치매 및 피로회복에 효과적인 성분 '타우린'의 효능 및 사용 효과
▶ '아나볼릭' 몸짱을 만들어주는 위험한 약물의 효능 및 부작용
▶ 단풍에 노란 색소을 입히는 '크산토필' 의 효능 및 특징
'자유로운 정보 >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상에 숨어있는 환경호르몬 '프탈레이트'의 위험성 및 부작용 (0) | 2022.04.21 |
---|---|
불소 치약이 치아를 망친다고? '불소'의 부작용 및 특성 (0) | 2022.04.18 |
끔찍한 위험성을 지닌 '페놀'의 부작용 및 특징 (0) | 2022.04.17 |
플라스틱과 스티로폼을 이루고있는 환경호르몬 성분 '스타이렌' (2) | 2020.10.30 |
치매 및 피로회복에 효과적인 성분 '타우린'의 효능 및 사용 효과 (0) | 2020.10.29 |